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장석영

출생:1851년, 대한민국 경상북도 칠곡의 녹리

사망:1926년

최근작
2024년 11월 <[큰글자책] 요좌기행, 망국 선비의 만주·시베리아 견문록>

장석영

회당 장석영은 경북 칠곡 출신으로 자는 순화(舜華), 호는 추관(秋觀)·회당(晦堂)이며 지영(之榮)·석교(碩敎)라고도 불렸다.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조선 중기의 거유 장현광(張顯光, 1554∼1637)의 9대손으로 부친은 동부승지·병조참의 등을 지낸 장시표(張時杓, 1819∼1894)다. 퇴계의 성리학풍을 계승한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 1818∼1886)의 문하에 들어가 곽종석(郭鍾錫)·이승희(李承熙)등과 더불어 한주학(寒洲學)을 계승하고 전적들을 정리하는 데 노력했다. 특히 한주학이 이단으로 배척받자 이를 공박하며 한주학이 퇴계학을 계승하고 있음을 천명했다.
소위 근대전환기라는 미증유의 시대적 혼란 속에서 장석영의 행적은 대단히 일관적이었다. 1905년 일제가 을사조약을 강제로 체결하고 국권을 박탈하자 그는 이승희·곽종석 등과 함께 이 조약의 파기와 을사오적의 처형을 강청(强請)하는 〈청참오적소(請斬五賊疏)〉를 올렸다. 또 1907년 칠곡 지역의 국채보상회 회장으로 추대되어 이 운동을 조력했다. 1910년 강제병합 후 그는 일제의 소위 ‘은사금’이라는 회유 공작을 단호히 배척했고, 이후 고인이 되어 버린 스승 이진상의 문집 《한주집》과 지기(知己) 이승희의 문집 《대계집(大溪集)》의 교정과 출판에 힘쓰면서도 저술 및 강학 활동을 지속했다.
1919년 3·1운동 직후, 그는 지역 유림인 곽종석·김창숙(金昌淑, 1879∼1962) 등과 협력해 파리만국회의에 보낼 독립청원서 초안을 작성했고 4월 2일 성주 장날의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해 구금되었다. 동년 5월 독립청원서 작성과 항일 운동을 이유로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고, 10월에 석방되었는데 이때 옥중 항일투쟁 실록인 〈흑산록(黑山錄)〉을 남겼다. 이후 고향으로 돌아와 전적들을 집성하고 집필 및 강학을 이어갔다. 1926년 76세의 나이로 예학 주석서인 《사례태기(四禮汰記)》를 완성했고 이듬해 6월 종명했다. 1977년 건국공로 대통령 표창, 1980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사상과 방법론이 유교적 보수성에 기초하고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고 그 한계도 인정된다. 다만, 그의 ‘보수성’은 그 배경 및 의의와 더불어 언급될 때 보다 선명해진다. 그는 소위 ‘개명(開明)’이라는 이유로, 수 세기에 걸쳐진 지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일시에 부정하고 단절하는 것을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여겼다. 이른바 ‘근대’의 숨겨진 이면에 주목했고 ‘전근대’라는 논리를 통한 자기부정을 용인하지 않았던 것이다. 오히려 그는 이것을 중요한 한국 전통으로 여기고 이를 계승해 후세에 전수해야 하는 것 역시 당대 유림에게 부여된 시대적·역사적 사명으로 인지했다. 또한 그의 보수성은, 소위 진보와 문명을 내세워 일제에 대한 훼절을 합리화하고 나아가 민족의 독립을 요원하게 만드는 일체의 타협을 배격하는 것이었다.
결국 일본 제국주의를 향한 그의 비타협적 태도는 이 시기 전통지식인의 일관된 유교적 저항의 전형이자 선비 정신의 표본을 보여 준다 하겠다. 다시 말하면, 그는 상황의 변화와 무관하게 자신의 평소 신념을 묵묵히 실천하며 유자로서의 소명을 다하는 동시에, 노구의 몸에도 개의치 않고 조국의 독립에 일조하려 했던 당대 유교 지성의 본질을 행동으로 보여 준 것이다.  

대표작
모두보기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