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평론가. 홍익대 산업디자인학과와 대학원 미학과를 졸업했다. 1990년대 초 대학원을
마친 이후 지금까지 크게 두 갈래의 삶을 살아왔다. 평론가와 운동가. 전자는 월간 <디자인> 편집장으로 시작하여 미술, 공예, 디자인 등 시각예술 전 분야에 걸친 비평 활동과 함께 대학 강의, 전시 기획, 각종 공공부문의 정책 참여 등으로 이루어졌다. 후자는 1990년 대의 10년간 민족미술협의회(민미협) 편집실장,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민예총) 편집실장 및 부설 문예아카데미 기획실장 등 민중문화운동, 2000년대의 10년간 문화연대 회원, (사)미술인회의 이사장, 희망제작소 부설 간판문화연구소 소장 등 시민문화운동으로 밟아왔다. 이후 10여 년간의 휴지기를 가진 뒤 현재 한국 근대연구 모임인 서래포럼 대표, 자유우파 문화운동 단체인 (사)문화자유행동 공동대표, 민주화운동동지회 회원으로 활동을 재개하고 있다. 여기에는 문재인 정권을 거치면서 기존의 좌파 정체성에 심각한 회의를 갖고 자유우파로의 사상적 전회를 한 것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저서로는 『문제는 근대다』 외 여러 권이 있다.
내가 우회의 나선을 그리는 동안 한국 사회에서 디자인의 위상은 크게 달라지고 있었다. 소비 사회의 풍요 속에서 디자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커지고 디자인 제도도 몰라볼 정도로 성장해갔다. 이제 디자인은 시대의 유행어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지경이었다.
그러나 나는 이러한 변화를 지켜보면서 뭔가 심대한 모순이 있다는 것을 눈치 채기 시작했다. 소비 사회와 디자인의 화려한 기표와는 달리 정작 내가 살아가는 일상은 매우 거칠고 메마르며 추하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디자인이라는 말은 하늘을 날아다니고 있는데 일상은 바로 코앞에서 알몸을 뒹굴고 있지 않은가. 그래서 나는 다시 생각했다.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 나는 우리의 현실이 양극화되어 있음을 느낀다. 제도와 현실, 공식적 담론과 일상적 실천, 전문 영역과 대중적 삶의 극단적인 분리와 배신을 나는 한국의 디자인에서 본다. 화려한 디자인과 누추한 현실, 이 둘을 동시에 긍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나는 하나의 편에 서야 한다. 현실은 나에게 당파성을 요구한다. 그리고 나는 디자인 제도가 아니라 '현실'의 편에 설 것을 결심한다.